Showing posts with label Windows. Show all posts
Showing posts with label Windows. Show all posts

Friday, April 28, 2017

윈도우10 크롬 '연결이 비공개로 설정되어 있지 않습니다'

다음과 같이 크롬을 새로 설치한 후에도 에러메세지가 발생한다면 이렇게 수정하면 된다.


1. Internet Explorer (인터넷 익스플로러)를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클릭하여 관리자 모드로 실행
2. [도구] - [인터넷 옵션] - [연결] - [LAN 설정] 클릭
3. 다음과 같이 [프록시 서버]를 체크 해제


윈도우10 SSD 최적화

1. Superfetch 비활성화
제어판 -> 시스템 및 보안 -> 관리도구 -> 서비스 -> Superfetch -> 시작 유형 -> 사용안함

2. Windows Error Reporting Service 비활성화
제어판 -> 시스템 및 보안 -> 관리도구 -> 서비스 -> Windows Error Reporting Service -> 시작 유형 -> 사용안함

3. Windows Search 비활성화
제어판 -> 시스템 및 보안 -> 관리도구 -> 서비스 -> Windows Search -> 시작 유형 -> 사용안함

4. 디스크에 쓰기 캐시 사용
제어판 -> 시스템 및 보안 -> 시스템-> 장치 관리자 -> 디스크 드라이브 -> 해당 SSD -> 속성 -> 정책 -> 장치에 쓰기 캐싱 사용 -> 체크

5. 시스템 로그에 이벤트 기록 비활성화
제어판 -> 시스템 및 보안 -> 시스템 -> 고급 시스템 설정 -> 시작 및 복구 -> 설정 -> 시스템 오류 -> 시스템 로그에 이벤트 기록 -> 체크 해제
/ 디버깅 정보 쓰기 -> 없음

6. 시스템 복원 기능 비활성화
제어판 -> 시스템 및 보안 -> 시스템-> 시스템 보호 -> 해당 SSD -> 구성 > 디스크 공간 사용 -> 삭제 / 복원 설정 -> 시스템 보호 해제 -> 체크

7. 가상 메모리 수동 설정
제어판 -> 시스템 및 보안 -> 시스템 -> 고급 시스템 설정 -> 성능 -> 설정 -> 고급 -> 가상 메모리 -> 변경 -> 사용자 지정 크기       -> 처음 크기 512입력 -> 최대 크기 1024입력 -> 설정

8. 고성능 모드 활성화
제어판 -> 시스템 및 보안 -> 전원옵션 -> 고성능 선택

9. 디스크 색인 비활성화
모든프로그램 -> 보조프로그램 ->  Windows 탐색기(관리자 권한으로 실행)  -> 해당 SSD 로컬 디스크 -> 속성 -> 이 드라이브의 파일 속성 및 내용 색인 허용 -> 체크 해제

10. 디스크 조각모음 비활성화
시작 -> 실행 -> dfrgui 입력 후 엔터 -> 일정 구성 -> 예약 실행(권장) -> 체크 해제

<*참고*명령창의 모든 명령어는 복사 후 붙여넣기가 가능합니다.>

11. 최대절전모드 비활성화
모든프로그램 -> 보조프로그램 -> 명령프롬프트 (마우스 우측 누른 후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 -> powercfg -h off 로 입력 후 엔터
 
12. 자동 Trim 작동 여부 확인 & 활성화
모든프로그램 -> 보조프로그램 -> 명령프롬프트 (마우스 우측 누른 후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  -> fsutil behavior query DisableDeleteNotify 입력 후 엔터 -> "DisableDeleteNotify =  0" 이면 Trim 작동중이며 미작동시에는  fsutil behavior set DisableDeleteNotify 0 입력 후 엔터를 누르면 작동 합니다.

13. winsxs폴더 용량 줄이기 (윈7 sp1 이상)
모든프로그램 -> 보조프로그램 -> 명령프롬프트 (마우스 우측 누른 후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 -> DISM /online /Cleanup-Image /SpSuperseded    입력 후 엔터 -> "작업을 완료 했습니다."가 나올때 까지 기다림 (다소 시간이 걸릴 수 있음 -> 완료




Tuesday, July 5, 2016

Build 2016 요약 정리


  • 2.7억개 장치에서 윈도우10 가동
  • 펜 및 잉크 지원 향상
  • 윈도우10 Bash 지원
  • 코타나 향상 - XboxOne 지원
  • 통합 스토어 윈도우10
  • Edge 생체 인증 지원
  • 페이스북 광고 플랫폼이 유니버설 윈도우 플랫폼으로 들어옴
  • 일반 XboxOne을 개발기기로 사용가
  • 데스크탑앱을 유니버설 앱으로 컨버팅 지원 - 나중에 에이지오브엠파이어2 HD버전과 위처3로 데모할 예정
  • Visual Studio 2015 Update 2 예정됨
  • 모든 게임이 윈도우10과 Xbox One에 릴리즈 예정
  • 홀로렌즈 개발자킷이 공개됨
  • 주위의 사람들을 인식할수 있는 새로운 스마트폰 앱이 공개됨
  • CaptionBot이라는 사진인식 AI가 공개됨

Wednesday, March 30, 2016

윈도우용 SVN 서버 VisualSVN Server

오래된 SVN Repository의 소스 정리를 하다가 SVNManager가 윈도우 10에서 동작하지 않아서 VisualSVN Server를 설치하였다.

설치해본 소감은 왜 내가 그동안 SVNManager를 고집했는지 후회 스러운 순간이었다. 윈도우 NT서버의 IIS와 같은 GUI와 함께 너무나도 쓰기 편리하게 되어 있었다.

감동의 순간을 스크린샷으로 남겨본다.

Sunday, November 29, 2015

원격제어 VNC, RDP 차이

요즘 원격 접속 제어 등에 관심이 생겨서 그러는데,

VNC와 RDP 차이가 어떤 점일까요...?
기술적으로 어떤게 다른지 알면 더 좋을 것 같네요.

예를 들면, VNC는 다중 접속이 가능하고 RDP는 그렇지 않다던가...
VNC는 화면 캡쳐 기반이고 RDP는 가상 채널 기반이라던가...
(실제로 맞는지 모릅니다. 그냥 대충 적어놓은 거에요. ㅠㅠ_

확실히 서로 다른 솔루션이고 장단점이 있을 것 같은데 정확히는 잘 모르겠네요.
RDP는 윈도우용이고 VNC는 서버 프로그램을 설치하면 윈도우, 맥, 리눅스 등 다 사용가능하다던지...

혹시 잘 아시는 분 계세요..?


RDP는 마이크로소프트에서 만든 것으로 서버로는 윈도우만 가능하고 클라이언트는 윈도우, 맥, 리눅스 모두 가능합니다. 속도나 성능, 기능적인 측면에서 좋은 편입니다. 서버 버전이 아닌 윈도우에서는 다중 접속이 안 되는 단점이 있으나 약간의 패치로 수정이 가능하기도 합니다.
VNC는 멀티플랫폼이 된다는 게 가장 큰 장점입니다.


RDP를 제외한 나머지류는 화면 전체를 캡쳐해서 인코딩하여 보내는 방식인지라 다양한 운영체제에서 사용이 가능한 반면에, 역으로 좀 느립니다. MS RDP는 MS의존적인 반면에 단순 압축이 아니라 경우에 따라 간소화된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좀 더 빠릅니다. 다만 MS RDP가 항상 MS OS에서만 사용 가능한 것은 아니고, 어디까지나 단순 이미지를 전송하는 방식도 있기 때문에 Virtualbox같은 경우에는 모든 OS에 대하여 접속이 가능하도록 설정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또 VNC는 원격 접속류이기 때문에 해당 대상 컴퓨터의 콘솔 세션에만 접근이 가능한 반면, RDP는 비 콘솔 세션에 접근할 수 있지요.

Sunday, April 5, 2015

Windows 콘솔창의 타이틀을 바꾸어 보자(title)

배치 프로그래밍을 할때 cmd.exe를 실행시키게 되면 다음과 같이 "C:\WINNT\system32\cmd.exe"가 뜨게 되거나 bat를 실행 시킨 경우라면 그 bat파일 이름이 뜨게 된다.

그런데 배치 프로그래밍을 하다보면 새로운 창을 열고나서 그 창의 목적에 맞게 타이틀 바를 바꾸어 줄 필요가 생긴다. 그럴때 사용하는 명령어가 바로 title "타이틀명"이다.

간단한 예제 스크린 샷으로 알아보자. 원래 [시작]-[실행]에서 cmd.exe를 누르면 다음과 같은 스크린 샷을 얻을수 있다.


여기서 title Debug을 입력하면 콘솔창의 제목이 "Debug"로 바뀐다.

Windows 유닉스의 grep과 같은 기능(find)

cmd창에서 유닉스의 grep과 같은 기능을 하는 명령어로는 find가 있다. 아래에는 그 옵션들이 나열되어 있는데 가장 중요한 옵션은 /i이다. 왜냐하면 ms는 대소문자 구별을 하지 않기 때문이다.

help find

Searches for a text string in a file or files.

FIND [/V] [/C] [/N] [/I] [/OFF[LINE]] "string" [[drive:][path]filename[ ...]]

  /V         Displays all lines NOT containing the specified string.
  /C         Displays only the count of lines containing the string.
  /N         Displays line numbers with the displayed lines.
  /I         Ignores the case of characters when searching for the string.
  /OFF[LINE] Do not skip files with offline attribute set.
  "string"   Specifies the text string to find.
  [drive:][path]filename
             Specifies a file or files to search.

If a path is not specified, FIND searches the text typed at the prompt
or piped from another command.


예제)예를들어 set에서 framework이 있는 라인을 찾고자 한다면 유닉스에는
set | grep "framework"인데 윈도우 cmd창에서는
set | find /i "framework"하면 된다.

Total Commander 파일 내용 검색

특정 파일에 들어있는 텍스트를 찾기위해 윈도우 탐색기를 이용하였는데 원하는 결과가 있는데도 불고하고 나오지 않았다. 그래서 토탈커맨더에서 파일 내의 내용찾기를 하니 윈도우 탐색기보다 옵션도 많고 정말 잘 찾아준다.

만약 C:\에서 확장자가 cs,cpp,h에 해당하는 파일 중에 Event라는 문자열이 들어있는 것을 탐색할때는 토탈커맨더에서 다음과 같이 하면된다.

Alt+F7로 파일내의 내용찾기를 누른후에 다이얼로그에서 다음과 같이 입력한다. 기본적으로 Find Text는 체크박스가 꺼져있으니 활성화 시켜줘야 Event를 입력할수 있다.


Windows 새로운 프로세스 띄우기(start)

배치 프로그래밍을 하다보면 하나의 배치 파일에서 새로운 창을 열어서 다른 프로세스를 실행하기를 원할 때가 있다. 그럴때는 start명령어를 사용한다. 이것은 start뒤에 오는 모든 명령어를 새로운 cmd창을 열어서 프로세스를 분리한 후에 거기서 프로그램을 실행시켜준다.

예제)cmd창에서 아래와 같이 입력하면 현재 창의 프롬프트는 그대로인채 새창에서 모든 하위폴더의 파일 목록을 보여준다.
start  dir /s


Starts a separate window to run a specified program or command.
START ["title"] [/D path] [/I] [/MIN] [/MAX] [/SEPARATE | /SHARED]
      [/LOW | /NORMAL | /HIGH | /REALTIME | /ABOVENORMAL | /BELOWNORMAL]
      [/AFFINITY <hex affinity>] [/WAIT] [/B] [command/program]
      [parameters]
    "title"     Title to display in  window title bar.
    path        Starting directory
    B           Start application without creating a new window. The
                application has ^C handling ignored. Unless the application
                enables ^C processing, ^Break is the only way to interrupt
                the application
    I           The new environment will be the original environment passed
                to the cmd.exe and not the current environment.
    MIN         Start window minimized
    MAX         Start window maximized
    SEPARATE    Start 16-bit Windows program in separate memory space
    SHARED      Start 16-bit Windows program in shared memory space
    LOW         Start application in the IDLE priority class
    NORMAL      Start application in the NORMAL priority class
    HIGH        Start application in the HIGH priority class
    REALTIME    Start application in the REALTIME priority class
    ABOVENORMAL Start application in the ABOVENORMAL priority class
    BELOWNORMAL Start application in the BELOWNORMAL priority class
    AFFINITY    The new application will have the specified processor
                affinity mask, expressed as a hexadecimal number.
    WAIT        Start application and wait for it to terminate
    command/program
                If it is an internal cmd command or a batch file then
                the command processor is run with the /K switch to cmd.exe.
                This means that the window will remain after the command
                has been run.
                If it is not an internal cmd command or batch file then
                it is a program and will run as either a windowed applicatio
                or a console application.
    parameters  These are the parameters passed to the command/program

If Command Extensions are enabled, external command invocation
through the command line or the START command changes as follows:
non-executable files may be invoked through their file association just
    by typing the name of the file as a command.  (e.g.  WORD.DOC would
    launch the application associated with the .DOC file extension).
    See the ASSOC and FTYPE commands for how to create these
    associations from within a command script.
When executing an application that is a 32-bit GUI application, CMD.EXE
    does not wait for the application to terminate before returning to
    the command prompt.  This new behavior does NOT occur if executing
    within a command script.
When executing a command line whose first token is the string "CMD "
    without an extension or path qualifier, then "CMD" is replaced with
    the value of the COMSPEC variable.  This prevents picking up CMD.EXE
    from the current directory.
When executing a command line whose first token does NOT contain an
    extension, then CMD.EXE uses the value of the PATHEXT
    environment variable to determine which extensions to look for
    and in what order.  The default value for the PATHEXT variable
    is:
        .COM;.EXE;.BAT;.CMD
    Notice the syntax is the same as the PATH variable, with
    semicolons separating the different elements.
When searching for an executable, if there is no match on any extension,
then looks to see if the name matches a directory name.  If it does, the
START command launches the Explorer on that path.  If done from the
command line, it is the equivalent to doing a CD /D to that path.

Saturday, April 4, 2015

Windows 폴더를 드라이브로 마운트 하기(subst)

특정 폴더를 내 컴퓨터의 특정 드라이브로 마운트 해야할 때가 있다.
특히 윈도우NT환경에서 네트워크 드라이브를 로컬 주소로 변환할 필요가 있을 때 내컴퓨터의 드라이브로 마운트를 한다.
그럴때는 다음과 같이 SUBST라는 명령어를 사용한다.

Associates a path with a drive letter.
SUBST [drive1: [drive2:]path]
SUBST drive1: /D
  drive1:        Specifies a virtual drive to which you want to assign a path
  [drive2:]path  Specifies a physical drive and path you want to assign to
                 a virtual drive.
  /D             Deletes a substituted (virtual) drive.
Type SUBST with no parameters to display a list of current virtual drives.

예제)cmd창에서
subst z: \\duongame-pc\share

Friday, April 3, 2015

Total Commander 설정

윈도우 탐색기와 유사하게 Total Commander를 설정하는 방법

#화면
숨김/시스템 파일 표시
-".svn" 같은 숨김 폴더가 표시되어서 SVN 관리하기에 좋음

#동작
오직 토탈 커맨더 1개만 실행
-여러개 실행 방지
왼쪽 마우스 버튼
-왼쪽 마우스 버튼으로 선택하면 오른쪽으로 윈도우 익스플로러 메뉴를 호출 가능함
빠른 찾기 알파벳만
-윈도우 익스플로러 처럼 파일 이름 알파벳으로 탐색 가능

#복사/삭제
대용량 복사 모드
-대용량 파일 복사시 속도 향상

#편집기 뷰어
F4에 울트라 에디트를 등록
-울트라 에디트가 블럭 설정 호환성이 좋고 기획팀에서 사용중
-대용량 파일 편집에도 유리함

#기타 단축키 설정
F2를 RenameOnly로 설정
-윈도우 익스플로러 기능과 동일
-파일 이름 변경시 키보드로 변경가능하다.

Wednesday, December 3, 2014

Windows 실행파일 패스 알아보기(where)

유닉스에서는 어떤 명령어(프로그램)의 바이너리 위치를 알기위해서는 whereis를 사용했다. 윈도우 cmd에서는 where를 사용한다.(is가 빠짐) 아래에서 msbuild.exe의 패스 위치를 알아보자. 현재 패스 우선순위상으로는 MSBuild 2.0이 4.0보다 높은 순위에 있다. 이러면 msbuild를 입력하면 4.0대신에 2.0이 호출된다.

예제)where msbuild
C:\WINDOWS\Microsoft.NET\Framework\v2.0.50727\MSBuild.exe C:\WINDOWS\Microsoft.NET\Framework\v4.0.30319\MSBuild.exe